AI교육이 안되는 이유

안되는 이유는 많지만 몇 가지만 이야기 해보겠다. 첫 번째는 가르치려는 의지가 없기 때문이다. 현장에서 가르쳐야 되는 교사들이 알려주고 싶어하는 의지가 있어야 조금이라도 배우려고 할 텐데 의지도 없고 관심도 없어서 배우려고 하지 않는다. 두 번째 이유는 첫 번째와 연관이 되는 이유인데 배우려고 하지 않으니 AI교육에 대한 무지가 지속된다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이유는 내 경험상 개선이 어렵다. 하지만 세번째 이유는 노력의 여지가 조금 있다. 세 번째 이유가 교육 도구의 문제점이기 때문이다.
AI교육 도구의 문제점
지금까지 경험해본 AI교육도구나 AI교육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가르치려는 사람들이 어느 정도는 AI에 대한 지식이 필요했다. AI에대한 지식이 전무한 현장 교사들이 사용하기엔 조금 어려워 보였다.
이 부분이 내가 가장 인상 깊었던 부분인데
자 AI는에 데이터를 입력해봅시다. 자 학습 됐어요. 이렇게 움직여요~ 짜잔.
이런 느낌이었다. 이게 AI교육이라고 할 수 있을까..AI체험에 더욱 가깝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실제로 아이들도 저런 교육을 받고 나면 AI에 대한 이해도가 깊어진다기 보다 재미있는 체험을 하나 마치고 난 것 처럼 보였다.
그래서 뭐?
AI교육도구를 만들어 보기로 했다. 위의 문제점들을 토대로 내가 구상한 AI교육도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요소 | 상세 | 수준 |
---|---|---|
접근성 | 학생들이 접근하기 편한가? | 상 |
관리성 | 학생 관리가 편한가? | 하 |
자율성 | 학생들이 스스로 접근하고 학습할 수 있는가? | 상 |
AI학습 원리 | AI의 학습원리에 대해 다루고 있는가? | 상 |
조금 어렵게 말하자면 아이들이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개별화 수준을 높이는 방향을 선택하기 위해 학습챕터를 세분화하고, 누군가의 관리가 필요한 시스템을 만들어서 또 하나의 업무를 만들지 않기 위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부분을 학습할 수 있는 조금 개방된 학습 시스템을 만들자는 생각이었다. 이렇게 하면 첫 번째 문제와 두 번째 문제를 극복하고 세 번째 문제까지 해결해내는 방향이 될 것 같았다.
말이야 쉽지…
물론 어렵겠지만 재미있을 것 같았다. 나한테도 엄청난 공부가 될 것이고, 매번 프로젝트를 할 때마다 나의 도구가 하나씩 늘어나는 기분이..무언가 다람쥐가 볼에 도토리를 왕창 넣는 기분을 알 것 같았다. 이 번 프로젝트도 쉽지 않겠지만 언제나 그랬듯 누구하나 재촉하는 사람 없다. 천천히 하다 보면 결국 되긴 된다. 퀄리티가 문제지만…
Uploaded by N2T
'프로젝트 > ai교육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elte] AI교육 사이트 만들기 3 - 프레임워크 선택(svelte) (0) | 2023.01.29 |
---|---|
[SVELTE] AI교육 사이트 만들기 2 - 기획 (커리큘럼 구성 및 사이트 구성) (0) | 2023.01.23 |